공모주 열기가 뜨겁습니다. SK바이오사이언스, SK바이오팜, 카카오뱅크, 크래프톤 등등. 굵직굵직한 기업들이 상장되고 큰 수익을 거둔 투자자분들 많습니다. 오늘은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.

균등배정 비례배정 차이점
공모주 방식에는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이 있습니다. 과거에는 균등배정방식이었고 현재는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에 각각 할당해서 공모주 청약을 하고 있습니다. (증권사 마다 그 비율이 다릅니다.) 비례배정은 돈많은 큰손투자자들만 참여할 수 있었다면 균등배정은 소액투자자들도 참여가 가능하죠.
균등배정이란?
균등배정 방식은 올해 처음 도입 되었는데요. 과거 특정주식 공모에 1 – 2억씩 넣었지만 3 – 4주 밖에 배정받을 수 없었다는 기사 보신적있나요? 내가 넣은 돈에 비례해 배정받았기 때문에 큰 금액이 필요했습니다. 즉, 큰손들만 많은 수의 주식을 할당받을 수 있었죠.
이런상황에서 금융당국은 소액투자자들 참여기회를 높이기 위해 균등배정방식을 채택했습니다. 50%는 비례배정방식으로 진행되고, 나머지 50%는 균등배정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죠.
균등배정방식은 100명의 투자자가 공모청약을 진행했다면 100명에게 똑같이 균등배분해주는 것 입니다. 청약을 위한 최소금액만 가지고 있다면 균등하게 배분 받을 수 있죠. 그러나 경쟁률이 너무 높다면 0주를 배정받을 수도 있습니다. 또한 최소금액 이상 청약을 진행해도 적은 수량을 받게 될 수도 있죠.
균등배정 계산
배정물량 / 총청약건수 입니다. 예를들어, 배정물량이 12,000주, 총청약건수가 5,000주라면 2,3주를 배정 받을 수 있습니다. 여기서 최소청약수량인 10주만 신청했다면 증거금 부족으로 추가증거금을 납부해야됩니다.
비례배정이란?
비례배정방식은 말 그대로 비례해서 주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 공모금액에 비례해서 더 큰 금액을 입금했다면 더 많이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. 공평한 방식이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, 소액투자자들에게 기회가 없기때문에, 소위 돈 많은 큰손들이 많은 물량을 가져갔습니다. 인기 공모주는 4-5천만원에 1주씩 배정받을 수 있으니, 소액투자자는 참여조차 하지 않았겠죠. 그래서 나오게 된 것이 균등배정이랍니다.
비례배정 계산
총청약주식수 / 배정물량 입니다. 예를들어, 총청약주식수가 100,000주고 배정물량이 10,000주라면 10:1 경쟁률이 되고, 10주를 신청해야 1주를 받을 수 있게 되죠. 여기서 1주에 공모가가 100,000원 이라면 1,000,000원 있어야 1주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.